pipeline에서의 함수 체이닝시 각각의 결과를 lazy하게 측정하여 해당 결과를 통해 다양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봤어요.
어제 말씀드린 카테고리 이론 관련하여 기초적인 내용들 쉽게 작성한 글이 있어서 올려봐요! 지금 보니 제가 설명한게 좀 틀린게 있네욤..
https://evan-moon.github.io/2020/01/27/safety-function-composition/
그리고 제가 한건 그 각 함수가 연결되어 실행하는 로직을 generator함수로 감싸서 lazy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고 밑에 conveyorLogger 같은 lazy한 처리를 관찰하고 처리하는 처리기를 따로 둔 것이 제가 한거에요.
예를 들어 중간에 Except가 리턴되면 처리기가 해당 Except를 확인하여 남은 pipeline을 타지 않고 해당하는 코드를 즉시 리턴하게 해줘요.
(generator에서 반환되는 yield 타입 추론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
'개발 > typescript,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07-08 개인스터디] fp-ts: semigroup (0) | 2021.06.27 |
---|---|
[21-06-27 개인스터디] fp-ts: Ord (0) | 2021.06.27 |
[21-06-18 개인스터디] fp-ts Eq 알아보기 + combinators pattern, contramap (0) | 2021.06.19 |
[21-06-15 사내모각코] Trait typescript로 구현해보기 (0) | 2021.06.16 |
[21-06-02 사내모각코] fp-ts: Option 알아보기 (0) | 2021.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