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그 외5

maui test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maui/what-is-maui What is .NET MAUI? .NET Multi-platform App UI (MAUI) is a cross-platform framework for creating native mobile and desktop apps with C# and XAML. docs.microsoft.com https://dotnet.microsoft.com/download/dotnet/5.0 Download .NET 5.0 (Linux, macOS, and Windows) .NET 5.0 downloads for Linux, macOS, and Windows. .NET is a free, cross-platform,.. 2021. 7. 15.
언어와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많은 개발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특정 언어나 특정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를 깊게 파고 들어가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나도 크게 공감하는 바이며 특히 개발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이 vue가 좋다. 아니다 react가 좋다. 미래는 svelt다... css in js를 써야한다.. go랭, java, c#, 어쩌고 저쩌고 하는 외부의 소음에 시달리는 것을 많이 보아왔다. 그래서 이것저것 해보다가 결국 전부 전문성이 떨어지는 케이스를 여럿 보아 왔다. 그런 모습을 볼 때마다 나도 모르게 속이 쓰리다. 어쩌면 개발자로 성장하려면 다들 한번씩 겪는 경험일지도 모른다. 그래서 많은 개발자들이 스스로 겪어보고 한 우물을 깊게 파라고 얘기하는 것이다. 실제로도 내가 계속 이것 저것 다른 것을 공부하는 모습을 다른 개발.. 2021. 6. 7.
객체지향-1 각 객체들은 저마다 생명을 가지고 있으며(ex - car.changeGear(...)) 우리는 각 객체 생명들의 창조주나 마찬가지이다. 그 세상에서의 객체들은 개미나 인간이나 돌맹이나 전부 같은 가치가 있다. 그 개체들의 마음과 행위, 관계를 알아주어야 한다. 현실을 본따 만든 세상에 어떤 것이 필요할까? 내가 만든 세상에 대한 목적성이 있고 그 목적을 위해 필요한 관계들을 만들어야 한다. 관계가 없으면 객체는 의미가 없다. 각 객체는 관계를 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각 객체의 관계를 중심으로 객체를 작성해야 한다. 그리고 이 관계는 그 세계의 목적성을 위한 관계다. 현실의 모든 관계를 끌어다오면 목적성을 알 수 없는 객체가 되어버릴 것이다. 객체는 내가 만든 생명체이므로 현실과는 다른 특이한 관계.. 2020. 7. 4.
객체지향과 함수형에 대한 짦은 생각 (초짜 프로그래머로써 하는 주관적 경험에 의한 이야기라는 것을 알아두시고 생각이 얕더라도 너무 노여워하지 마시길) 난 대학생때부터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추종자였다. c, c++, java 밖에 배운적이 없던 내가 프론트엔드 개발자로가 전향하고자 한 이유가, 그 당시 병아리던 내가 아는 선에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일자리가 많은게 javascript 언어 였기 때문이다. (clojure 언어를 독학했으나 그 당시 일자리가...) 실제로 처음 회사로 자바스크립터로 가서 나름 기초적인 함수형 프로그래밍적 기법을 사용하여 일 한적도 많고 심지어 타입스크립트를 공부한 것도 함수형 프로그래밍적 기법을 더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였다. (여기서 의아해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지만 아직도 난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 2020. 4. 28.